[꿀팁]청년도약계좌 이제는 부분 인출도 가능해졌어요
3년만 성실하게 저축해도 혜택 챙기는 꿀팁까지 요즘 물가도 오르고, 생활비도 빠듯한데… 혹시 중간에 돈이 급하게 필요하면 어쩌지? 이런 걱정 때문에 청년도약계좌 가입 망설였던 분들 많으셨죠?
📢 그런데! 2025년 7월부터 청년도약계좌도 부분 인출이 가능해졌어요! 이제는 중도 해지 안 해도, 딱 1번! 일부 인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답니다.
✅청년도약계좌가 뭐예요?
👉청년도약계좌
✔ 청년(만 19~34세)
✔ 매달 꾸준히 저축하면
✔ 정부가 함께 돈을 넣어주는
목돈 만들기 전용 통장이에요!
👉이 계좌의 장점은?
- 최대 월 3만 3천 원까지 정부가 보태줌
- 이자소득 비과세! (세금 안 떼감)
- 5년 만기까지 유지하면 최대 5천만 원 모을 수 있어요
- 연이율로 따지면 최대 9.54% 효과!
✅그런데 왜 다들 망설였을까요?
✔ 5년 동안 못 빼면 너무 길지 않나?
✔ 돈이 급하게 필요하면 해지해야 하나요?
맞아요. 원래는 중도 해지하면
👉 정부 기여금도 못 받고
👉 이자에 세금도 내야 했어요.
그런데! 이제 바뀌었습니다. 바로 부분 인출 서비스가 생긴 거죠!
✅바뀐 약관, 핵심은 이거예요
✅ 누가 | 계좌 개설 2년 이상 유지한 사람 |
✅ 언제 | 만기 전까지 1회에 한해 |
✅ 얼마나 | 지금까지 넣은 금액의 최대 40% |
✅ 어떻게 | 영업점 방문 or 은행 앱에서 신청 |
✅ 이자는? | 중도 해지 금리 기준으로 지급 |
✅ 조건은? | 중도 해지한 걸로 간주해서 혜택 일부는 줄어듦 |
✅이런 분들에겐 더 좋은 소식이에요
- 갑자기 독립해야 할 상황이 생긴 청년
- 취업 준비, 이직 등으로 급히 돈이 필요한 경우
- 중도 해지 없이 일부만 쓰고 싶었던 분들
→ 이제는 중간에 생활비 때문에 계좌를 해지할 필요 없이, 정말 급할 때 부분 인출 한 번으로 해결 가능해졌어요!
✅추가로 바뀐 내용도 있어요!
청년들에게 더 도움이 되도록 제도가 좋아졌어요
👉 성실하게 3년만 저축해도 혜택은 OK!
원래는 5년 채워야 정부기여금,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었는데 이제는 3년 이상 성실 납입하면, 해지해도 혜택 일부 받을 수 있어요!
📌 연 7.64% 수준의 적금 효과와 유사, 단, 매달 빠짐없이 저축한 경우에만 인정돼요!
✅신용점수도 올라가요!
2025년 7월부터 청년도약계좌를 2년 이상 유지한 사람에게는
✔ 마이데이터 동의 없어도 신용평가 점수를 +5~10점 가산해준대요!
✔ 꾸준히 저축한 것만으로도 ‘신뢰할 수 있는 사람’으로 인정받는 거죠!
✅가입은 언제? 어떻게?
✔ 매달 초 신청 가능
✔ 7월 신청일: 7월 1일(화) ~ 7월 11일(금)
✔신청 방법은?
아래 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! (비대면 가입 OK)
국민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IBK기업은행, 농협은행, 부산은행, 광주은행, 전북은행, 경남은행, IM뱅크(대구은행)
📌 더 자세한 일정은 👉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👈
✅실제 가입자 현황도 봤더니…
✔ 2024년 기준 가입자 수: 약 133만 명
✔ 5명 중 1명은 가입함
✔ 그중 70%는 매달 빠짐없이 저축 중!
이젠 중도 해지 걱정 없이, 마음 놓고 청년도약계좌 시작해도 됩니다 😊
관련 글 더 보기
-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과 가입방법
- 학자금 상환 유예 조건부터 신청방법까지
- 청년 적금 5대은행 총정리
- 청년창업사관학교 모집요강부터 장점까지
- 청년내일저축계좌 조건부터 신청꿀팁
- 청년희망적금2차 신청 조건 꿀팁
호시팡팡의 꿀팁연구소
알아두면 삶이 편해지는 꿀팁들! 호시팡팡이 대신 찾아드릴게요.
second.merqawi.com
'팡팡 청년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, 2년 후 580만원 받는 법! 2025 신청 총정리 (16) | 2025.08.01 |
---|---|
[꿀팁] 내 근처 청년센터 찾는 법! 커피값 걱정 없이 공부하고 싶다면? (13) | 2025.07.31 |
중소기업 청년 재직자 전용 대출! 전세, 월세 보증금 걱정 해결 (0) | 2025.06.30 |
청년 국비지원 프로그램! K-Digital로 코딩부터 AI까지 (6) | 2025.06.30 |
청년마음건강바우처로 무료 심리상담 받는 법 총정리 (3) | 2025.06.2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