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인증서] 비사업자도 되는 공동인증서 발급법! 은행 안 가고 5분 만에 끝내는 법
반응형
공동인증서는 사업자만 쓰는 거라고요? 아닙니다! 비사업자도 필요할 때가 많고, 요즘은 집에서도 쉽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.
1. 공동인증서란?
예전엔 공인인증서라고 불렸던 인증 수단이 2020년부터 바뀌었습니다. 지금은 공동인증서라는 이름으로 누구나 쓸 수 있어요.
✔ 특징은?
- 은행, 홈택스, 정부24 등 공공기관에서 본인 인증용으로 사용
- PASS, 네이버 인증서 등 간편 인증보다 보안 수준 높음
- 파일 형태(PFX)로 저장 → USB, PC, 스마트폰 등에 보관 가능
2. 왜 비사업자도 필요할까?
의외로 일반인도 공동인증서를 쓸 일이 많습니다.
- 홈택스 - 연말정산 간소화자료, 소득금액증명서 발급 등
- 정부24 - 가족관계증명서, 인감증명서 발급 등
- 인터넷뱅킹 - 은행 간 송금, OTP등록 등
- 건강보험공단 - 자격득실확인서, 보험료 납부확인 등
👉 공동인증서 없으면 아예 접근이 안 되는 서비스도 많아요
3. 발급 가능한 곳
공동인증서는 다음 두 곳 중 선택해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.
✅ 은행 (대표 5대 시중은행)
- 국민, 우리, 신한, 농협, 하나은행 등
- 기존에 계좌가 있어야 가능
- 직접 방문 OR 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
✅ 민간인증기관 (KICA 등)
- 한국정보인증(KICA)에서 직접 발급
- 은행 계좌 없어도 가능
- 인터넷만 있으면 누구나 신청 가능 (유료/무료 옵션 있음)
4. 모바일·PC 발급 준비물
모바일 발급 | 스마트폰, 신분증, 은행 앱 or 인증기관 앱 |
PC 발급 | 본인 명의 휴대폰, 은행 공인인증센터 접속 가능 환경 |
✔ 공통: 본인 명의 전화번호 + 본인 인증 수단은 꼭 필요!
5. 은행 안 가고 공동인증서 받는 순서 (모바일 기준)
- 본인 은행 앱 실행 (예: 국민은행 앱)
- 메뉴 → 인증/보안 → 공동인증서 → 신규 발급/재발급 클릭
- 본인 명의 확인 (휴대폰 인증 또는 계좌 인증)
- 인증서 비밀번호 설정 → 저장 위치 선택
- 발급 완료!
6. 내 인증서가 제대로 등록됐는지 확인하는 법
- 홈택스 접속 → 공동인증서 로그인 시도
→ 목록에 이름이 뜨면 정상 등록된 것! - 정부24 로그인 → 공동인증서 선택
→ 파일이 자동 불러와지면 OK
✔ TIP: PC와 스마트폰 모두 저장해 두면 편해요
7. 자주 묻는 질문
Q. 무료인가요?
→ 대부분 은행에서는 무료, 민간기관은 1~4천 원대 비용 있음
Q. 다른 사람 인증서 써도 되나요?
→ 아니요. 본인 명의 인증서만 사용 가능 (위임도 불가)
Q. 인증서 유효기간은요?
→ 1년, 기간 만료 전에 갱신 알림 문자 옵니다
Q.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길 수 있나요?
→ 네, 인증서 복사 기능으로 가능 (PC → 모바일 또는 반대)
8. 마무리 요약
- 공동인증서는 이제 사업자 전용이 아닙니다
- 일반인도 홈택스, 정부24 등에서 많이 쓰게 됨
- 은행 앱이나 인증기관 홈페이지에서 비대면 발급 가능
- PC 없이도 모바일에서 5분 만에 해결 가능!
👉 한 번 발급해 두면 1년간 다양한 민원서류도 쉽게 뗄 수 있어요. 은행 안 가고도 다 되는 세상, 지금 바로 발급해 보세요!
👉관련 글 더 보기
반응형
반응형
'팡팡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홈택스]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모바일로 받는 법! 회사 제출용 PDF까지 완벽 정리 (1) | 2025.07.21 |
---|---|
[정부24] 한눈에 보는 민원서비스 이렇게 쓰세요! 진짜 유용한 기능만 모았습니다 (2) | 2025.07.20 |
[필독] 2025 하반기 국토교통부 청년인턴 모집 총정리! 지금 신청하세요 (8) | 2025.07.18 |
[필독]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꿀팁! 서울사랑상품권으로 15만원 + 1만원 환급까지 받는 방법 (4) | 2025.07.15 |
[필독]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! 최대 55만원 혜택 받는 법 총정리 (1) | 2025.07.14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