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[인증서] 비사업자도 되는 공동인증서 발급법! 은행 안 가고 5분 만에 끝내는 법

호시팡팡 2025. 7. 22.
반응형

공동인증서는 사업자만 쓰는 거라고요? 아닙니다! 비사업자도 필요할 때가 많고, 요즘은 집에서도 쉽게 발급받을 수 있어요.

공동인증서

1. 공동인증서란?

예전엔 공인인증서라고 불렸던 인증 수단이 2020년부터 바뀌었습니다. 지금은 공동인증서라는 이름으로 누구나 쓸 수 있어요.

✔ 특징은?

  • 은행, 홈택스, 정부24 등 공공기관에서 본인 인증용으로 사용
  • PASS, 네이버 인증서 등 간편 인증보다 보안 수준 높음
  • 파일 형태(PFX)로 저장 → USB, PC, 스마트폰 등에 보관 가능

2. 왜 비사업자도 필요할까?

의외로 일반인도 공동인증서를 쓸 일이 많습니다. 

  • 홈택스 - 연말정산 간소화자료, 소득금액증명서 발급 등
  • 정부24 - 가족관계증명서, 인감증명서 발급 등
  • 인터넷뱅킹 - 은행 간 송금, OTP등록 등
  • 건강보험공단 - 자격득실확인서, 보험료 납부확인 등

 

👉 공동인증서 없으면 아예 접근이 안 되는 서비스도 많아요


3. 발급 가능한 곳

공동인증서는 다음 두 곳 중 선택해서 발급받을 수 있어요.

✅ 은행 (대표 5대 시중은행)

  • 국민, 우리, 신한, 농협, 하나은행 등
  • 기존에 계좌가 있어야 가능
  • 직접 방문 OR 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

✅ 민간인증기관 (KICA 등)

  • 한국정보인증(KICA)에서 직접 발급
  • 은행 계좌 없어도 가능
  • 인터넷만 있으면 누구나 신청 가능 (유료/무료 옵션 있음)

4. 모바일·PC 발급 준비물

모바일 발급 스마트폰, 신분증, 은행 앱 or 인증기관 앱
PC 발급 본인 명의 휴대폰, 은행 공인인증센터 접속 가능 환경

✔ 공통: 본인 명의 전화번호 + 본인 인증 수단은 꼭 필요!

 


5. 은행 안 가고 공동인증서 받는 순서 (모바일 기준)

  1. 본인 은행 앱 실행 (예: 국민은행 앱)
  2. 메뉴 → 인증/보안 → 공동인증서 → 신규 발급/재발급 클릭
  3. 본인 명의 확인 (휴대폰 인증 또는 계좌 인증)
  4. 인증서 비밀번호 설정 → 저장 위치 선택
  5. 발급 완료!

공동인증서발급방법


6. 내 인증서가 제대로 등록됐는지 확인하는 법

  • 홈택스 접속 → 공동인증서 로그인 시도
    → 목록에 이름이 뜨면 정상 등록된 것!
  • 정부24 로그인 → 공동인증서 선택
    → 파일이 자동 불러와지면 OK

✔ TIP: PC와 스마트폰 모두 저장해 두면 편해요


7. 자주 묻는 질문

Q. 무료인가요?
→ 대부분 은행에서는 무료, 민간기관은 1~4천 원대 비용 있음

Q. 다른 사람 인증서 써도 되나요?
→ 아니요. 본인 명의 인증서만 사용 가능 (위임도 불가)

Q. 인증서 유효기간은요?
→ 1년, 기간 만료 전에 갱신 알림 문자 옵니다

Q.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옮길 수 있나요?
→ 네, 인증서 복사 기능으로 가능 (PC → 모바일 또는 반대)

 


8. 마무리 요약

  • 공동인증서는 이제 사업자 전용이 아닙니다
  • 일반인도 홈택스, 정부24 등에서 많이 쓰게 됨
  • 은행 앱이나 인증기관 홈페이지에서 비대면 발급 가능
  • PC 없이도 모바일에서 5분 만에 해결 가능!
    👉 한 번 발급해 두면 1년간 다양한 민원서류도 쉽게 뗄 수 있어요. 은행 안 가고도 다 되는 세상, 지금 바로 발급해 보세요!

👉관련 글 더 보기

반응형
반응형

댓글